본문 바로가기
여러가지 것들/IT

아이폰SE 에 대한 정보들과 아이폰에 대해서 알아보자

by noo min23 2019. 2. 8.
728x90
반응형

iPhone SE

최근 수정 시각: 

파일:나무위키프로젝트.png
이 문서는 나무위키 스마트 디바이스 프로젝트에서 다루는 문서입니다. 
해당 프로젝트 문서를 방문하여 도움이 필요한 문서에 기여하여 주세요!
파일:애플 로고.png
iPhone 제품군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밑줄애플 공식 홈페이지에서 판매 중인 제품
파일:Apple_iPhoneSE_All_Apkr.jpg
스페이스 그레이
실버
골드
로즈 골드
A big step for small.
작은 크기. 거대한 도약.

1. 개요2. 사양3. 상세
3.1. 기능
4. 출시
4.1. 한국 출시4.2. 한국 외 지역
5. 소프트웨어 지원
5.1. iOS 95.2. iOS 105.3. iOS 115.4. iOS 12
6논란 및 문제점7. 기타
7.1. 후속작?

1. 개요[편집]

애플이 2016년 3월 21일(한국 시각 2016년 3월 22일)에 공개한 iOS 스마트폰.

2. 사양[편집]

Apple A9 APL0898 & APL1022 SoCApple Twister MP2 1.85 GHz CPU, IT PowerVR GT7600 600 MHz GPU
Apple M9 모션 인식 프로세서
2 GB LPDDR4 SDRAM, 16 / 32 / 64 / 128 GB 내장 메모리
4.0인치 1136 x 640 RGB 서브픽셀 방식의 Retina Display (IPS TFT-LCD 방식 & 326 ppi)
멀티터치 지원 정전식 터치 스크린
근접통신
Wi-Fi 802.11a/b/g/n/ac, 블루투스 4.2, NFC
위성항법
전면 120만 화소, 후면 1,200만 화소 위상차 검출 AF 및 True Tone LED 플래시
내장형 Li-Ion 1624 mAh
iOS 9.3 → 10 → 11 → 12
규격
58.6 x 123.8 x 7.6 mm, 113 g
색상[2]
스페이스 그레이실버골드로즈 골드
단자정보
USB 2.0 Apple Lightning 8-pin x 1, 3.5 mm 단자 x 1
기타
VoLTE 및 Wideband Audio 지원, 에어리어 방식 지문인식 지원
한국 출시 모델인 A1723 이외 지역 하드웨어 사양
[ 펼치기 · 접기 ]
  • 지원 이동통신 주파수 - 글로벌 모델 A1723 기준(한국 출시 모델)
    • 4G LTE-FDD Band 1, 2, 3, 4, 5, 7, 8, 12, 17, 18, 19, 20, 25, 26, 28 / 4G LTE-TDD Band 38, 39, 40, 41
    • 3G WCDMA 850, 900, AWS, 1900, 2100 MHz / 3G TD-SCDMA 1880, 2010 MHz
    • 2G GSM 850, 900, 1800, 1900 MHz / CDMA 계열 네트워크 800, AWS, 1900, 2100 MHz

3. 상세[편집]

애플이 2016년 3월 21일(한국 시각 2016년 3월 22일)에 공개한 아이폰 시리즈 소속의 스마트폰으로, 아이폰 5c 이후로 공개된 두 번째 비주력 아이폰이다. 아이폰 5c가 아이폰 5를 대체했던 것처럼 아이폰 5s를 대체하는 포지션[6]을 가진 것으로 보인다.

전반적인 디자인은 4.0인치의 디스플레이 크기를 가진 아이폰 중 가장 최고 사양이었던 아이폰 5s와 패밀리룩을 이루고 있다. 하지만, 다이아몬드 커팅 부분이 아이폰 5s와는 달리 무광으로 처리되었으며 후면 애플 로고가 아이폰 5s 이후의 아이폰 시리즈처럼 스테인리스 강철 소재로 만들어지는 차이점이 있다. 특히, 기존에는 알루미늄 소재의 기기 본체에 애플 로고 모양으로 광을 낸 것이지만, NFC 안테나 기능 내장을 위해 애플 로고 모양으로 구멍을 만들어서 집어넣었다고 한다. 그리고 알루미늄 소재 역시 아이폰 6s & 아이폰 6s Plus와 동일한 소재로 변경되어 조금 더 단단하고 속이 빈 느낌을 준다고 한다. 기본 색상은 스페이스 그레이, 실버, 골드, 로즈 골드로 총 4종[7]이다.

사양은 우선 AP로 Apple A9 APL0898 & APL1022를 사용한다. Apple Twister 듀얼코어 CPU와 이매지네이션 테크놀러지 PowerVR GT7600 GPU를 사용한다. 이는 2015년도 주력 아이폰인 아이폰 6s & 아이폰 6s Plus에 탑재된 모바일 AP와 동일한 것이다. 게다가 크기가 작아졌기에 발열 관리 및 배터리 타임에서 손해를 보게되지만 모바일 AP는 다운클럭되지 않고 탑재되어 동일한 성능을 내준다고 한다. 그리고 GPU 온스크린 벤치마크 결과는 같은 모바일 AP를 탑재한 아이폰 6s보다 해상도가 낮기 때문에 더더욱 높을 수밖에 없었기에 출시 당시 기준으로, 스마트폰 중에서는 가장 높은 벤치마크 수치가 나왔다.[8] 여담으로, 세계 최초로 플래그십 스마트폰이 아닌 스마트폰 중에서 14nm/16nm 공정에서 생산된 모바일 AP를 탑재했다.[9] 어쩌다 보니 세계 최초

RAM은 LPDDR4 SDRAM 방식이며 2 GB다. 내장 메모리는 16 GB와 64 GB로 나뉘어진다. 이후, 애플의 내장 메모리 정책 변경으로 32 GB와 128 GB가 기존 용량을 대체하게 되었다. 여담으로, 4.0인치 아이폰 중 128 GB 모델이 존재하는 유일한 사례가 되었다.

디스플레이는 4.0인치 1136 x 640 해상도를 지원하며 패널 형식은 IPS TFT-LCD 방식의 Retina Display이다. 이는 아이폰 5s와 동일한 해상도 및 디스플레이 패널을 사용한 것이다. 이로인해 아이폰 5 및 아이폰 5s의 고질적인 문제점으로 지적되던 녹색 테두리 현상이 다시 발생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섞인 이야기가 존재하고 있으며 실제로 해당 현상이 다시 발생하고 더 나아가서 디스플레이 들뜸 현상까지 그대로 발생하고 있다고 한다. 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 iPhone 5 Second Edition 디자인뿐 아니라 결함마저도 레트로

지원 LTE 레벨은 Cat.4로 다운로드 최대 150 Mbps, 업로드 최대 50 Mbps를 보장하며 20 MHz 대역폭의 광대역이 구축된 LTE에서 정상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배터리 용량은 내장형 1,624 mAh이다. 이는 아이폰 5s 대비 약 50 mAh 가량 증가한 수치이다. 일단, 애플은 아이폰 6s Plus와 유사한 배터리 타임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는 아이폰 6s 대비 탭틱 엔진이 들어가지 않은 공간을 배터리로 돌리고 작은 디스플레이 크기 및 저해상도로 이득을 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아이폰 5s와 해상도가 같지만 배터리 타임이 개선된 것을 볼 때, 디스플레이보다는 다른 부품들의 전력 소모율이 개선되었기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다.

후면 카메라인 iSight 카메라는 1,200만 화소 카메라를 탑재했다. 그리고 위상차 검출 AF를 지원한다. 특히, 일명 '카툭튀' 현상이 존재하지 않는다. 전면 카메라인 FaceTime HD 카메라는 120만 화소 카메라를 탑재했다.

에어리어 방식의 지문인식 센서가 전면 홈 버튼에 탑재되어 있다.

기기 공개 당시 iOS 9.3을 기본으로 탑재했다.

3.1. 기능[편집]

  • 'Siri야' 항상 활성화
    Siri 활성화 음성 인식 코드인 'Siri야'의 작동에는 모션 인식 프로세서가 관여를 하는데 기존에는 외장 칩셋으로 존재해 배터리 문제로 충전 중에서만 활성화되었다. 하지만, M9 프로세서가 Apple A9 APL0898 & APL1022 내부에 통합되고 모바일 AP라는 칩셋의 특성[10] 덕에 외장 칩셋으로 존재할 당시에 고려했어야 했던 전력 소모 부분을 별도로 걱정할 필요가 없어졌기 때문에 충전 상태 여부와 상관없이 'Siri야' 기능이 항상 작동하게 되었다.
  • Live Photos
    카메라 셔터를 누르면 1.5초 이전 시점부터 1.5초 이후 시점까지 총 3초의 동영상이 사진과 함께 저장되며 사진을 터치할 때, 동영상이 재생된다. 새로운 기술이 적용된 것은 아니고, 기존에 사용하던 JPG 포맷과 MOV 포맷을 이용해 사진과 동영상을 저장하고 일종의 하이퍼링크처럼 활용한 것이라고 한다.[11] 다만, PC나 타 기기로 촬영된 사진 파일을 이동했을 때에는 Live Photos 기능이 작동하지 않는다.
  • Retina Flash
    기존에 타사 스마트폰 중, 전면 카메라로 촬영을 할 때 디스플레이에서 플래시와 같은 효과를 내게해주던 기능과 유사하다. 디스플레이 밝기를 3배 이상으로 올려 전면 카메라의 플래시 역할을 하도록 만들었으며 전면 카메라로 색감을 파악한 뒤에 백색과 황색을 적절히 섞어주는 True Tone LED 플래시와 비슷한 효과를 내주도록 구현되었다.
  • VoLTE
    기존 아이폰 시리즈에서 지원하던 기능이다. 하지만, 4.0인치 아이폰 중에서는 2017년 8월 기준으로도 유일하게 지원한다. 이는 아이폰 5s가 4G LTE는 지원했으나 VoLTE를 지원하지 않아 음성 통화 관련 개선 기술은 Wideband Audio만 지원[12]했기 때문이다. 기존 음성 통화와 비교할 때 최초 연결 딜레이도 없고 통화 품질도 개선되었다. 또한, VoLTE를 지원하지 않으면 음성 통화 시 멀티태스킹 등으로 데이터 통신을 이용할 때 4G LTE를 사용할 수 없고 음성 통화가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네트워크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진다. 3G WCDMA라면 그나마 낫지만 사용자가 CDMA 계열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사용 중이라면 상당히 불편할 수 있는 부분이다. 따라서, 아이폰 5s 대비 눈에 띄게 변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이로인해 드디어 LG U+로도 4.0인치의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아이폰을 개통해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iPhone 6s 문서의 r545 판, 4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4. 출시[편집]

공개 직후에 1차 출시국 및 2차 출시국이 발표되었다. 1차 출시국은 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중국, 프랑스, 독일, 홍콩, 일본, 뉴질랜드, 푸에르토 리코, 싱가포르, 영국, 미국 그리고 미국령 버진 아일랜드로 총 13개 국가 및 시장으로 2016년 3월 24일에 사전 예약 판매가 시작되고 2016년 3월 31일에 출시될 예정이라고 한다.

2차 출시국은 알바니아, 안도라, 오스트리아, 바레인, 벨기에, 보스니아, 불가리아, 크로아티아, 체코, 덴마크, 에스토니아, 핀란드, 그리스, 건지, 저지, 헝가리, 아이슬란드, 인도, 아일랜드, 맨 섬, 이탈리아, 코소보, 쿠웨이트, 라트비아, 리히텐슈타인, 리투아니아, 룩셈부르크, 마케도니아, 몰디브, 몰타, 모나코, 네덜란드, 노르웨이, 폴란드, 포르투갈, 루마니아, 러시아, 사우디아라비아,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스페인, 스웨덴, 스위스, 대만, 터키 그리고 아랍에미레이트로 2016년 4월 중에 출시될 예정이라고 한다. 포함되지 않는 국가 및 시장은 2016년 5월 중에 출시될 예정이라고 한다.

출고가는 미국 애플 온라인 스토어 언락 모델 기준, 16 GB 모델이 $399, 64 GB 모델이 $499로 책정되었다.

2017년 3월 21일, 애플의 내장 메모리 정책이 변경됨에 따라 16 GB 모델은 32 GB 모델로 대체되고, 64 GB 모델은 128 GB 모델로 대체되었다.

2017년 9월 13일, 아이폰 8 & 아이폰 8 Plus 그리고 아이폰 X가 공개 됨에 따라 출고가가 용량 별로 각각 $50씩 인하되었다. 

4.1. 한국 출시[편집]

항상 그렇듯이 공개 직후에 발표된 1차 출시국 및 2차 출시국에 포함되지 않았기 때문에 출시 일정은 구체적으로 알 수 없게 되었다. 따라서, 1차 출시국 및 2차 출시국 이외의 지역 출시 시기인 2016년 4월 말 ~ 5월 중에 출시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2016년 4월 20일, 애플이 애플 온라인 스토어를 통해 무약정 언락 기기의 출고가를 공개했다. 16 GB 모델이 590,000 원, 64 GB 모델이 730,000 원으로 책정되었다.

2016년 4월 27일, SK텔레콤이 사전 예약 판매 일정을 다음날인 2016년 4월 28일부터 실시한다고 발표했다.[13]

2016년 4월 28일, 애플 온라인 스토어에서 판매가 개시되었다. 다만, 일종의 사전 예약 판매로, 정식 배송은 2016년 5월 10일부터 진행된다. 즉, 정식 출시일이 2016년 5월 10일이라는 주장은 사실상 확정되었다.

2016년 5월 10일, 한국 시장에 정식으로 출시되었다. SK텔레콤KT 그리고 LG U+를 통해 출시되었으며 출고가는 16 GB 모델이 569,800 원, 64 GB 모델이 699,600 원으로 책정되어 무약정 언락 기기 대비 약 3만원 가량 저렴하게 책정되었다.

출시 직후, 이동통신사를 통한 구매가 어렵다고 한다. 이는 이동통신사들이 물량을 많이 풀지 않았기 때문으로 추정되고 있다. 그냥 언락폰 사라는 무언의 압박

2016년 9월 8일, 아이폰 7 & 아이폰 7 Plus가 공개 됨에 따라 애플 온라인 스토어의 64 GB 모델 출고가가 660,000 원으로 인하되었다. 하지만 16 GB 모델은 출고가가 인하되지 않았다.

2017년 3월 21일, 애플의 내장 메모리 정책이 변경됨에 따라 16 GB 모델은 32 GB 모델로 대체되고, 64 GB 모델은 128 GB 모델로 대체되면서 128 GB 모델의 출고가 다시 699,600 원으로 환원되었다. 이후 동년 4월 7일, 32 GB 모델과 128 GB 모델이 애플 온라인 스토어에서 정식으로 출시되었다.

2017년 5월 27일, SK텔레콤 기준으로 재고가 남아있던 16 GB 모델의 출고가가 330,000 원, 64 GB 모델의 출고가가 399,300 원으로 큰 폭으로 인하되었다. 다만, 64 GB 모델의 경우 로즈 골드 색상만 남아있다고 한다.

2017년 9월 13일, 아이폰 8 & 아이폰 8 Plus 그리고 아이폰 X가 공개 됨에 따라 애플 온라인 스토어의 32 GB 모델 출고가가 490,000 원으로 인하되었다.

여담으로, 한국 시장에는 CDMA 계열 이동통신을 지원하는 모델이 출시되지만 비동기방식 전용으로 잠겨있는 채 출시되었다. 이는 한국 외 국가 및 지역 시장도 동일하며 CDMA 계열 이동통신을 서비스하지 않는 이동통신사의 SIM 카드를 장착하면 사용할 수 없다. 서비스 코드 중 일부 이동통신사의 개통용 SPC 코드 입력창을 띄우는 코드가 있는데, 한국 시장에 공급된 기기의 경우 한글로 알 수 없는 오류와 유사한 형태의 창이 출력되고 바로 사라진다고 한다. 입력 시 실제 데이터 세팅 값이 변경되기 때문에 CDMA 계열 이동통신을 지원하는 휴대 전화를 한국 시장에서 사용할 경우 APN을 수동으로 저장해야 한다고 한다. 미국 버라이즌 와이어리스의 경우 사용자가 실제로 가지고 있는 기기의 기기명과 자사에 공급되는 기기의 기기명이 동일하면 일단 이동통신사 서버 내에서 작업을 해야 한다며 이동통신사 측에 방문할 것을 요청했다는 사례가 있다.[14]

4.2. 한국 외 지역[편집]

미국은 1차 출시국으로 분류되어 버라이즌 와이어리스AT&T스프린트 코퍼레이션 그리고 T-모바일 US 등을 통해 출시된다. 또한, 기기 약정 할인이 폐지되고 있기 때문에 출고가가 그대로 판매가가 된다.

일본은 1차 출시국으로 분류되어 출시된다. 출고가는 일본 애플 온라인 스토어 언락 모델 및 소비세 미 포함 기준, 16 GB 모델이 52,800 엔, 64 GB 모델이 64,800 엔으로 책정되었다.

유럽은 각 국가 및 지역 상황에 따라 1차 출시, 2차 출시, 그 외 출시로 나뉘어진다. 출고가는 세금 등의 이유로 미국보다 약 40%가량 비싸질 것이라고 한다.

아랍 에미리트는 16 GB 모델이 AED 1,699, 64 GB 모델이 AED 2,099로 책정되었다. 2016년 5월 25일 기준, 약 AED 50씩 할인되어 각각 AED 1,649과 AED 2,049로 판매되고 있다고 한다.

정식으로 단종된 이후인 2019년 1월, 미국 애플 스토어에서 재고처리를 명목으로 재판매가 진행되었다. 32 GB 모델이 $249, 128 GB 모델이 $299로 판매가가 책정되었고 출시 만 하루 만에 매진되었다고 한다. 이후로도 두 차례나 추가로 예고 없이 판매가 진행되었다.

5. 소프트웨어 지원[편집]

iOS 9로 소프트웨어 지원이 시작되었으며 최초 적용 버전은 9.3이다.

5.1. iOS 9[편집]

2016년 4월 1일, iOS 9.3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9.3.1이다.

2016년 5월 17일, iOS 9.3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9.3.2이다. 해당 업데이트를 통해 공통 적용 사항을 제외하고 블루투스를 이용하는 일부 서드파티 액세서리를 기기와 연결했을 때 사운드 음질에 문제가 발생하던 오류가 수정되었다.

2016년 7월 19일, iOS 9.3 업그레이드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9.3.3이다.

2016년 8월 5일, iOS 9.3 업그레이드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9.3.4이다.

2016년 8월 26일, iOS 9.3 업그레이드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9.3.5이다.

5.2. iOS 10[편집]

2016년 9월 7일, iOS 10.0 업그레이드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10.0.1이며 빌드 버전은 14A403이다.

2016년 9월 23일, iOS 10.0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10.0.2이며 빌드 버전은 14A456이다.

2016년 10월 18일, iOS 10.0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10.0.3이며 빌드 버전은 14A551이다.

2016년 10월 25일, iOS 10.1 업그레이드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10.1이며 빌드 버전은 14B72이다.

2016년 11월 2일, iOS 10.1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10.1.1이며 빌드 버전은 14B100이다.

2016년 12월 13일, iOS 10.2 업그레이드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10.2이며 빌드 버전은 14C92이다.

2017년 1월 24일, iOS 10.2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10.2.1이며 빌드 버전은 14D27이다.

2017년 3월 28일, iOS 10.3 업그레이드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10.3이며 빌드 버전은 14E277이다.

2017년 4월 4일, iOS 10.3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10.3.1이며 빌드 버전은 14E304이다.

2017년 5월 16일, iOS 10.3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10.3.2이며 빌드 버전은 14F89이다.

2017년 7월 20일, iOS 10.3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10.3.3이며 빌드 버전은 14G60이다.

5.3. iOS 11[편집]

2017년 9월 20일, iOS 11.0 업그레이드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11.0이다.

2017년 9월 27일, iOS 11.0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11.0.1이며 빌드 버전은 15A402이다.

2017년 10월 4일, iOS 11.0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11.0.2이며 빌드 버전은 15A421이다.

2017년 10월 12일, iOS 11.0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11.0.3이며 빌드 버전은 15A432이다.

2017년 11월 1일, iOS 11.1 업그레이드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11.1이며 빌드 버전은 15B93이다.

2017년 11월 9일, iOS 11.1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11.1.1이다.

2017년 11월 16일, iOS 11.1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11.1.2이다.

2017년 12월 3일, iOS 11.2 업그레이드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11.2이다.

2017년 12월 14일, iOS 11.2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11.2.1이며 빌드 버전은 15C153이다.

2018년 1월 9일, iOS 11.2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11.2.2이다.

2018년 1월 24일, iOS 11.2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11.2.5이다.

2018년 2월 20일, iOS 11.2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11.2.6이다.

2018년 3월 30일, iOS 11.3 업그레이드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11.3이다.

2018년 4월 25일, iOS 11.3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11.3.1이다.

2018년 5월 30일, iOS 11.4 업그레이드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11.4이다.

2018년 7월 10일, iOS 11.4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11.4.1이다.

5.4. iOS 12[편집]

2018년 9월 18일, iOS 12.0 업그레이드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12.0이며 빌드 버전은 16A366이다.

2018년 10월 9일, iOS 12.0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12.0.1이다.

2018년 10월 31일, iOS 12.1 업그레이드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12.1이며 빌드 버전은 16B92 & 16B93이다.

2018년 12월 6일, iOS 12.1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12.1.1이며 빌드 버전은 16C50이다.

2018년 12월 18일, iOS 12.1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12.1.2이며 빌드 버전은 16C101이다.

2019년 1월 22일, iOS 12.1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12.1.3이며 빌드 버전은 16D39이다.

6. 논란 및 문제점[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iPhone SE/논란 및 문제점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 기타[편집]

  • 기기 규격이 아이폰 5s와 동일하기 때문에 기존에 아이폰 5s와 호환되게 만들어진 악세서리들을 사용할 수 있다고 한다. 또한, 해당 기기 공개 이후에 출시된 서드파티 케이스는 아이폰 5s를 넘어서 아이폰 5에서도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한다.
  • 공개일 기준, 역대 아이폰 시리즈 소속 스마트폰 중에서는 가격 대 성능비가 가장 좋은 기기라고 평가받고 있다. 비슷한 포지션이었던 아이폰 5c가 공개되었을 당시, 구형 모바일 AP와 플라스틱 소재를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아이폰 5s와 약 10만 원 수준의 적은 차이만을 둔 높은 출고가로 책정해 '실패한 기획'이라고 비판을 받았지만, 이번에는 2016년 3월 기준, 자사의 플래그십 스마트폰인 아이폰 6s과 동일한 모바일 AP 및 RAM 용량을 갖추고 소재도 프리미엄 스마트폰에 준하는 것을 사용하면서도 출고가를 대폭 낮췄기 때문에 같은 실패를 반복하지 않을 것이라는 예측도 나오고 있다. 특히, 2016년 기준으로 4.0인치 초반대 고성능 스마트폰의 씨가 말라버렸고, 그나마 존재하는 물건들은 성능이 매우 낮기 때문에 작은 크기를 선호하는 타깃층을 제대로 공략할 수 있다. 여기에다 낮은 출고가로 시장을 공략하고 있는 일부 중국 제조사들의 플래그십 스마트폰을 상대할 수 있고, 여기에 기존 스마트폰 제조사들의 프리미엄 하이엔드 스마트폰에도 큰 타격을 줄 수 있을 것이라는 예측[15]도 나오고 있다.
  • 내장 메모리 최저 용량이 16 GB였던 마지막 아이폰 시리즈 소속 스마트폰이다. 이후 2017년 3월 21일부터 32 GB가 최저 용량이 되었다.
  • 아이폰 5s와 기기 규격이 동일하다보디 아이폰 5s에서 하우징만 교체해서 짝퉁 기기를 만들어 중고 시장에 판매하는 중고 거래 사기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이 때문에 LG U+를 통해서 구매했던 기기나 내장 메모리 용량이 128 GB인 기기 그리고 로즈 골드 색상의 기기는 아이폰 5s와 관계가 없기 때문에 안전[18]하지만 나머지 경우는 중고 거래 시 재차 확인해야 한다고 한다.

7.1. 후속작?[편집]

2019년 1월 기준, 4.0인치의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마지막 아이폰 시리즈 소속 스마트폰이다 보니 크기가 작은 기기이면서 성능이 높은 기기를 원하는 수요층에서 후속작을 원하는 의견이 나왔고 실제로 몇 차례에 걸쳐서 후속작과 관련된 루머들이 나오기도 했다. 특히, 2017년 아이폰 관련 루머가 끊임없이 나오는 와중에 2세대 아이폰 SE도 나올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다. 다만, 2017년 9월에 아이폰 8 & 아이폰 8 Plus 그리고 아이폰 X가 공개 됨에 따라 단순 루머에 국한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18년 아이폰 관련 루머에도 포함되는 등 지속적으로 관련 루머가 나오고 있었다.

2018년 1분기가 지나가면서 다시 정식 출시 가능성이 점차 낮아지고 있는 상황이었고 결국 2018년에는 아이폰 XS & 아이폰 XS Max 그리고 아이폰 XR만 공개되어 후속작은 끝내 공개되지 않았다. 대신 출고가 기준으로는 아이폰 7의 출고가가 인하되면서 대체제 포지션에 올랐다.

그런데, 아이폰 XS & 아이폰 XS Max 그리고 아이폰 XR의 판매량이 예상 보다 신통치 않고 애플의 주가도 하락하는 등의 상황으로 인해 다시 후속작이 준비 중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Apple A10 Fusion APL1W24를 모바일 AP로 탑재하고 4.2인치의 디스플레이와 2 GB RAM, 그리고 Face ID와 무선충전 기술을 지원하며 2019년 봄에 출시될 것이라고 한다. 다만, 노치 디자인이 적용될 지 아니면 기존 기기의 디자인을 따를 것인지는 확인되지 않았다고 한다.

[1] 한국 출시 모델인 A1723은 하드웨어 상 지원하지만 한국 시장에서 직접 판매되는 경우에는 비활성화된 채 판매된다.[2] 한국 출시 당시 기본 색상에 볼드 처리[A] 3.1 3.2 지원 모델 추가 지원[5] 제품 공개 당시 같이 공개된 기본 색상에 볼드 처리[6] 다만, 아이폰 5c와는 다르게 기존 기기 대체 성격보다는 레트로 모델로서의 성격이 강한 편이다.[7] 아이폰 5s와 비교할 때, 스페이스 그레이 색상은 더 옅어졌고, 골드 색상은 더 진해졌다.[8] 아이폰 6s와 아이폰 6s Plus도 아이폰 6s Plus보다 아이폰 6s가 해상도가 낮기 때문에 GPU 온스크린 벤치마크 결과에서는 아이폰 6s가 아이폰 6s Plus보다 높다. 물론, GPU 본연의 성능을 나타내주는 GPU 오프스크린 벤치마크 결과는 오차범위 내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9] 중급형 스마트 디바이스를 타깃으로 한 14nm/16nm 생산 모바일 AP는 삼성전자, 퀄컴, 미디어텍에서도 공개를 하긴 했지만, 2016년 3월 기준으로 실제 탑재 기기가 나오지 않았다.[10] 기기 작동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CPU가 내장되어 있어서 기기의 전원이 켜져있을 때는 어떠한 형태로든 항상 작동해야한다.[11] 이 원리를 이용해서 원하는 JPG 포맷의 사진과 MOV 포맷의 동영상을 iFunbox 등의 비공식 탐색 응용 프로그램으로 기존 Live Photo에 덮어쓰기하는 식으로 원하는 Live Photo를 만들어내는 트릭이 발견되었다.[12] 즉, Wideband Audio를 적용하지 않은 채 음성 통화를 하는 것도 이론 상 가능하다.[13] 동시에 언론을 통해 2016년 5월 10일에 출시한다는 소식이 전해졌으나, 2016년 4월 27일 오후 4시 기준으로 공식 보도자료는 나오지 않아 확정적이라 단정지을 수 없었다.[14] 한국 시장 같이 리셀러 샵이 아닌 경우에는 해외직구 등으로 SIM 락이 걸려였는 기기를 들여온다면 아이튠즈 복왼 시 사용자가 사용하던 캐리어 락이나 언락 상태로 변모한다고 한다. 다만, 카메라 셔터음의 경우 기기가 최초로 출시된 국가에 맞춰진다고 한다.[15] 더 나아가, 중고 스마트폰 시장에서 가격 방어가 잘 되는 것으로 유명했던 아이폰 시리즈의 중고 가격 마지노선이 무너질 것이라는 예측도 나오고 있다.[16] 애초에 하드웨어 사양과 기본적인 기능들은 비교가 불가능할 정도로 우위에 있었다. 여기서 가격 대비 성능비까지 최대로 확보까지 하게되었다는 것이다.[17] 정식 발매명에 대해서 해외에서는 우스갯소리로 'Smaller Edition'의 약자라든가 'Samsung Electronics'의 약자라는 드립이 나오기도 했다.[18] 아이폰 5s는 LG U+를 통해 출시되지 않았고 128 GB 모델 역시 존재하지 않았으며 로즈 골드 색상으로 출시되지 않았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