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가지 것들/IT52 오다비야에 대해서 알아보자 한 동기인 야곱의 후손을 무참히 죽인 죄로 너희는 치욕을 당하고 영영 망하게 되었다. 오바디야 1장 10절(공동번역성서) 구약성경중 하나이다. 저술 시점의 배경은 이스라엘이 현재 패망하고 압제를 받으며 재기를 약속받는 내용으로 보아 바벨론 포로기인 기원 전 587년에서 기원 전 538년 사이로 보인다. 이름은 주님의 종이라는 의미로 아랍어 이름인 압둘라와 관련있다. 2. 내용[편집] 너희가 저지른 만큼 너희는 당하리라. 그 보복이 바로 너희 머리 위에 떨어지리라. 오바디야 1장 15절 (공동번역) 주된 내용은 에돔을 대차게 까는 책망하고 저주하는 내용으로 유다 멸망 이후 망국민인 이스라엘 민족을 압제하고 약탈하는 행태에 대한 책임을 지게 될 것임을 선고하는 내용이다. 여기서 에돔은 이스라엘 남~남동쪽에 .. 2019. 4. 30. 아모스에 대해서 알아보자 너희가 바치는 번제물과 곡식제물이 나는 조금도 달갑지 않다. 친교제물로 바치는 살진 제물은 보기도 싫다. 거들떠보기도 싫다. 그 시끄러운 노랫소리를 집어치워라. 거문고 가락도 귀찮다. 다만 정의를 강물처럼 흐르게 하여라. 서로 위하는 마음이 개울같이 넘쳐 흐르게 하여라. 아모스 5장 22~24절(공동번역성서) 유대교와 기독교의 성경 중의 한 권. 예언자 아모스의 언행을 수록한 책이다. 이름의 의미는 '짐 진 자'. 이사야의 아버지인 아모쓰(אמוץ,가톨릭 성경에서는 아모츠)와는 다른 인물이다. 아모스는 남왕국(유다) 출신으로 축산업(양 키우기)과 농업(무화과 재배)에 종사하다가 하느님의 명령을 받고 북왕국(이스라엘)으로 올라가서 북왕국의 권력자와 부자들, 귀족과 성직자들의 부패와 타락을 신랄하게 비판했다.. 2019. 4. 29. 요엘에 대해서 알아보자 브두엘(프투엘)의 아들 요엘이 쓴 책이다. 요엘 1장에서는 황충의 파괴력을 마주한 인간의 무력함을 '주님의 날' 로 표현하며, 2장에서는 다시는 일어나지 않을 정도로 거대한 재앙을 '마지막 날'이라고 표현한다. 본서의 황충은 오로지 요엘서와 요한묵시록에만 등장한다는 점에 주목할 것. 이 황충에 대한 명쾌한 풀이는 현재까지 나온 바가 없으며, 분명 요한묵시록에서 묘사중인 원리의 핵심을 관통하는 용어임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주목받지 못해왔다. 또한 같이 주목할 만한 구절로 풀무치가 남긴 것은 메뚜기가 갉아먹고 메뚜기가 남긴 것은 누리가 썰어먹고 누리가 남긴 것은 황충(곤충)이가 탕쳐 먹었다. 요엘 1장 4절(공동번역) 이 있다. 근데 풀무치가 누리 아닌가대충 메뚜기가 피해를 줬다고 해석하자.[1] 또한 그런 .. 2019. 4. 28. 호세야에 대해서 알아보자 v나는 이스라엘을 내 것으로 이 땅에 심으리라. 로루하마를 귀여워해 주고 버린 자식을 "내 자식"이라 하리니, 그제야 입을 열어 "나의 하느님" 하고 부르리라. 호세아 2장 25절(공동번역성서) 유대교와 기독교 성경의 예언서 중 하나로, 12소예언자 중 하나인 호세아가 기원전 8세기경에 쓴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학계에서는 호세아 사후에 북이스라엘이 망하며 그에게서 영향을 받은 남유다 사람들이 엮은 예언서라고 여기고 있다. 브에리의 아들 호세아는 북이스라엘에서 태어나, 여로보암 2세 시대인 기원전 745년경부터 북이스라엘이 멸망을 앞두기까지 20여 년동안 활동한 유일한 예언자이다. 동시대의 예언자는 남유다의 아모스. 이 때 북이스라엘은 앗수르의 압박 속에 시달리며 내부에서도 왕을 몇 명이나 갈아치우며 힘든.. 2019. 4. 27. 이전 1 2 3 4 5 6 7 ··· 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