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갤럭시 S9
최근 수정 시각:
갤럭시S9에서 넘어옴
미드나잇 블랙 | 티타늄 그레이 |
코랄 블루 | 라일락 퍼플 |
| |
Samsung Galaxy S9 / SM-G960
The Camera. Reimagined
세상을 열다, 다시 새롭게
1. 개요[편집]
2. 사양[편집]
삼성 엑시노스 9 Series (9810) SoC. ARM big.LITTLE↓, ARM Mali-G72 MP18 572 MHz GPU Samsung Exynos M3 MP4 2.7 GHz CPU + ARM Cortex-A55 MP4 1.7 GHz CPU | |
4 GB LPDDR4X SDRAM, 64 GB UFS 2.1 규격 내장 메모리, micro SDXC (규격 상 2 TB, 400 GB 공식 지원) | |
근접통신 | |
위성항법 | |
내장형 Li-Ion 3000 mAh | |
규격 | 68.7 x 147.7 x 8.5 mm, 163 g |
색상[2] | 미드나잇 블랙, 코랄 블루, 라일락 퍼플, 버건디 레드, 선라이즈 골드, 폴라리스 블루 |
단자정보 | USB 3.1 Gen1 Type-C x 1 (DisplayPort -.- 지원), 3.5 mm 단자 x 1 |
기타 | |
한국 내수용 모델인 SM-G960N 이외 지역 하드웨어 사양
|
- 지원 이동통신 주파수 - 한국 내수용 SM-G960N 기준
- 2G GSM 850, 900, 1800, 1900 MHz
3. 상세[편집]
2010년 갤럭시 S를 시작으로, 매해 상반기에 공개된 삼성전자의 안드로이드 플래그십 스마트폰 시리즈인 갤럭시 S 시리즈의 2018년도형 모델이자 아홉 번째 모델 중 하나이다. 다른 하나는 형제 모델인 갤럭시 S9+다. 한국 시각으로 2018년 2월 26일 오전 2시에 삼성 갤럭시 언팩 2018에서 공개되었다.
전반적인 디자인은 전작인 갤럭시 S8 & 갤럭시 S8+부터 내려오는 패밀리룩을 따르고 있으며 애초에 디자인 요소에서 크게 변한 부분은 없다. 다만, 상하 베젤이 소폭 감소해서 전체적인 기기 면적은 줄어들게 되었으며 유광 재질로 되어있던 측면 테두리 소재가 무광 재질로 변경되었다. 기본 색상은 미드나잇 블랙, 티타늄 그레이, 코랄 블루, 라일락 퍼플로 총 4종이다.
사양은 우선 AP로 삼성 엑시노스 9 Series (9810)과 퀄컴 스냅드래곤 845 SDM845를 지역에 따라 취사선택해 사용한다. 전자는 삼성전자의 Samsung Exynos M3를 사용한 쿼드코어 CPU와 ARM Cortex-A55 쿼드코어 CPU에 big.LITTLE 솔루션을 적용한 HMP 모드 지원 옥타코어 CPU와 ARM Mali-G72 옥타데카코어 GPU를 사용한다. 또한, 빅 클러스터의 경우 Turbo Mode가 적용되어 싱글코어 2.7 GHz 및 듀얼코어 2.3 GHz로 작동하다 나머지 두 개의 코어를 걸리는 부하에 따라 CPU 클럭을 1.8 GHz로 낮추는 대신 추가로 작동한다. 즉, 비동기식 구성에다 Boost 클럭까지 가지고 있는 것이다.[8]후자는 Qualcomm Kryo 385 Gold 쿼드코어 CPU와 Qualcomm Kryo 385 Silver 쿼드코어 CPU에 big.LITTLE 솔루션을 적용한 HMP 모드 지원 옥타코어 CPU와 퀄컴 Adreno 630 GPU를 사용한다. 두 모바일 AP 모두 삼성전자 파운드리 사업부의 10nm FinFET LPP 공정에서 생산되었다.
RAM은 LPDDR4X SDRAM 방식이며 4 GB이다. 내장 메모리는 UFS 2.1 규격의 낸드 플래시를 사용하며 64 GB, 128 GB 그리고 256 GB로 나뉘어진다. 또한, micro SD 카드로 용량 확장이 가능하다. 단, 듀얼심 모델의 경우 하이브리드 듀얼심 방식이기 때문에 두 번째 SIM 카드와 micro SD 카드를 동시에 장착할 수 없다.
디스플레이는 5.8인치 18.5:9 비율의 2960 x 1440 해상도를 지원하며 패널 형식은 엣지 디스플레이 기술이 도입된 Super AMOLED 방식의 Infinity Display이다. 16:9 비율인 WQHD 해상도에 비해 세로 부분이 확장된 해상도로, 삼성전자는 이를 Quad HD+라고 명명해서 홍보하고 있다.[9] 또한, 소프트 키 구조를 가져서 물리 홈 버튼이 삭제되었지만, 압력 센서를 이용해 포스 터치처럼 소프트 키를 조작하는 사용자가 물리 홈 버튼을 사용하는 것과 유사한 사용 환경을 느낄 수 있도록 재현[10]했다고 한다.[11] 우선, 2220 x 1080 해상도를 기본 해상도로 사용[12]하며 설정에서 이를 높이거나 낮추는 조절이 가능하다[13]고 한다.
지원 이동통신의 경우, LTE Cat.18과 LTE Cat.18·13 모델이 있다. 우선, 업로드 속도는 Cat.18이 200 Mbps, Cat.13이 150 Mbps로 최대 속도가 잡혀있고, 다운로드 속도는 최대 1.2 Gbps로 통일되어 있다.[14] 그리고 4G LTE-TDD 역시 마찬가지로 상황에 따라 추가적으로 지원하며, VoLTE를 지원한다. 이는 삼성 엑시노스 9 Series (9810)과 퀄컴 스냅드래곤 845 SDM845에 내장된 통신 모뎀의 차이로 인한 것이며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역시 출시 국가 혹은 지역 상황에 따라 추가적으로 지원하는데, 삼성 엑시노스 9 Series (9810) 탑재 모델은 6 Band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세계 최초로 지원하고 퀄컴 스냅드래곤 845 SDM845 탑재 모델은 5 Band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지원한다.
배터리 용량은 내장형 3,000 mAh이다. 이는 전작인 갤럭시 S8과 배터리 용량이 동일한 것이다. 또한, 전작인 갤럭시 S8과 마찬가지로 삼성전자 Adaptive fast charging 규격, 퀄컴 퀵 차지 2.0 규격[15] 그리고 USB Power Delivery 2.0 규격[16]의 고속충전 기술과 자기유도 방식의 표준 규격인 Qi 규격과 자기유도 방식인 PMA와 자기공진 방식의 A4WP가 통합한 규격인 AirFuel 규격의 무선충전 기술 및 삼성전자 Adaptive fast charging 규격의 고속 무선충전 기술을 지원한다.
후면 카메라는 OIS 기술이 적용된 카메라 모듈에 DRAM이 내장된 센서인 삼성전자 시스템 LSI 사업부 아이소셀 패스트 SAK2L3 센서와 소니 엑스모어 IMX345 센서를 혼용[Z]하여 1,200만 화소 카메라를 77도의 화각으로 설정해 탑재했다. 그리고 AF 트래킹을 지원하고 "듀얼 픽셀" 기술의 개선판인 "슈퍼 스피드 듀얼 픽셀" 기술을 활용한 위상차 검출 AF를 지원한다. 또한, 센서 크기는 1/2.55인치이며 조리개 밝기는 가변 조리개 기술을 지원해 F/1.5와 F/2.4를 전환한다. 전면 카메라는 삼성전자 시스템 LSI 사업부 아이소셀 브라이트 S5K3H1 센서와 소니 엑스모어 IMX320 센서를 혼용[Z]하여 800만 화소 카메라를 80도의 화각으로 설정해 탑재했다. 여기에 AF를 지원한다. 또한, 센서 크기는 1/3.6인치이며 조리개 밝기는 F/1.7이다.
에어리어 방식의 지문인식 센서가 후면 카메라 모듈 하단에 탑재되어 있으며 홍채인식 센서가 전면 상단부에 탑재되어 있다. 그리고 방수 방진을 지원한다. 등급은 IP68로, 이는 방진 등급은 최고레벨이지만, 방수 등급은 IPX9K 등급보다 1단계 낮다. 또한, 심장 박동 인식 센서가 후면 카메라 모듈 우측면에 존재한다. 여기에 USB Type-C를 입출력 단자로 사용하며 전송 규격으로 최대 USB 3.1 Gen1까지 지원한다.
기기 공개 당시 안드로이드 8.0 오레오를 기본으로 탑재했다. 구체적인 운영체제 버전은 8.0.0이다.
전반적인 디자인은 전작인 갤럭시 S8 & 갤럭시 S8+부터 내려오는 패밀리룩을 따르고 있으며 애초에 디자인 요소에서 크게 변한 부분은 없다. 다만, 상하 베젤이 소폭 감소해서 전체적인 기기 면적은 줄어들게 되었으며 유광 재질로 되어있던 측면 테두리 소재가 무광 재질로 변경되었다. 기본 색상은 미드나잇 블랙, 티타늄 그레이, 코랄 블루, 라일락 퍼플로 총 4종이다.
사양은 우선 AP로 삼성 엑시노스 9 Series (9810)과 퀄컴 스냅드래곤 845 SDM845를 지역에 따라 취사선택해 사용한다. 전자는 삼성전자의 Samsung Exynos M3를 사용한 쿼드코어 CPU와 ARM Cortex-A55 쿼드코어 CPU에 big.LITTLE 솔루션을 적용한 HMP 모드 지원 옥타코어 CPU와 ARM Mali-G72 옥타데카코어 GPU를 사용한다. 또한, 빅 클러스터의 경우 Turbo Mode가 적용되어 싱글코어 2.7 GHz 및 듀얼코어 2.3 GHz로 작동하다 나머지 두 개의 코어를 걸리는 부하에 따라 CPU 클럭을 1.8 GHz로 낮추는 대신 추가로 작동한다. 즉, 비동기식 구성에다 Boost 클럭까지 가지고 있는 것이다.[8]후자는 Qualcomm Kryo 385 Gold 쿼드코어 CPU와 Qualcomm Kryo 385 Silver 쿼드코어 CPU에 big.LITTLE 솔루션을 적용한 HMP 모드 지원 옥타코어 CPU와 퀄컴 Adreno 630 GPU를 사용한다. 두 모바일 AP 모두 삼성전자 파운드리 사업부의 10nm FinFET LPP 공정에서 생산되었다.
RAM은 LPDDR4X SDRAM 방식이며 4 GB이다. 내장 메모리는 UFS 2.1 규격의 낸드 플래시를 사용하며 64 GB, 128 GB 그리고 256 GB로 나뉘어진다. 또한, micro SD 카드로 용량 확장이 가능하다. 단, 듀얼심 모델의 경우 하이브리드 듀얼심 방식이기 때문에 두 번째 SIM 카드와 micro SD 카드를 동시에 장착할 수 없다.
디스플레이는 5.8인치 18.5:9 비율의 2960 x 1440 해상도를 지원하며 패널 형식은 엣지 디스플레이 기술이 도입된 Super AMOLED 방식의 Infinity Display이다. 16:9 비율인 WQHD 해상도에 비해 세로 부분이 확장된 해상도로, 삼성전자는 이를 Quad HD+라고 명명해서 홍보하고 있다.[9] 또한, 소프트 키 구조를 가져서 물리 홈 버튼이 삭제되었지만, 압력 센서를 이용해 포스 터치처럼 소프트 키를 조작하는 사용자가 물리 홈 버튼을 사용하는 것과 유사한 사용 환경을 느낄 수 있도록 재현[10]했다고 한다.[11] 우선, 2220 x 1080 해상도를 기본 해상도로 사용[12]하며 설정에서 이를 높이거나 낮추는 조절이 가능하다[13]고 한다.
지원 이동통신의 경우, LTE Cat.18과 LTE Cat.18·13 모델이 있다. 우선, 업로드 속도는 Cat.18이 200 Mbps, Cat.13이 150 Mbps로 최대 속도가 잡혀있고, 다운로드 속도는 최대 1.2 Gbps로 통일되어 있다.[14] 그리고 4G LTE-TDD 역시 마찬가지로 상황에 따라 추가적으로 지원하며, VoLTE를 지원한다. 이는 삼성 엑시노스 9 Series (9810)과 퀄컴 스냅드래곤 845 SDM845에 내장된 통신 모뎀의 차이로 인한 것이며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역시 출시 국가 혹은 지역 상황에 따라 추가적으로 지원하는데, 삼성 엑시노스 9 Series (9810) 탑재 모델은 6 Band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세계 최초로 지원하고 퀄컴 스냅드래곤 845 SDM845 탑재 모델은 5 Band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지원한다.
배터리 용량은 내장형 3,000 mAh이다. 이는 전작인 갤럭시 S8과 배터리 용량이 동일한 것이다. 또한, 전작인 갤럭시 S8과 마찬가지로 삼성전자 Adaptive fast charging 규격, 퀄컴 퀵 차지 2.0 규격[15] 그리고 USB Power Delivery 2.0 규격[16]의 고속충전 기술과 자기유도 방식의 표준 규격인 Qi 규격과 자기유도 방식인 PMA와 자기공진 방식의 A4WP가 통합한 규격인 AirFuel 규격의 무선충전 기술 및 삼성전자 Adaptive fast charging 규격의 고속 무선충전 기술을 지원한다.
후면 카메라는 OIS 기술이 적용된 카메라 모듈에 DRAM이 내장된 센서인 삼성전자 시스템 LSI 사업부 아이소셀 패스트 SAK2L3 센서와 소니 엑스모어 IMX345 센서를 혼용[Z]하여 1,200만 화소 카메라를 77도의 화각으로 설정해 탑재했다. 그리고 AF 트래킹을 지원하고 "듀얼 픽셀" 기술의 개선판인 "슈퍼 스피드 듀얼 픽셀" 기술을 활용한 위상차 검출 AF를 지원한다. 또한, 센서 크기는 1/2.55인치이며 조리개 밝기는 가변 조리개 기술을 지원해 F/1.5와 F/2.4를 전환한다. 전면 카메라는 삼성전자 시스템 LSI 사업부 아이소셀 브라이트 S5K3H1 센서와 소니 엑스모어 IMX320 센서를 혼용[Z]하여 800만 화소 카메라를 80도의 화각으로 설정해 탑재했다. 여기에 AF를 지원한다. 또한, 센서 크기는 1/3.6인치이며 조리개 밝기는 F/1.7이다.
에어리어 방식의 지문인식 센서가 후면 카메라 모듈 하단에 탑재되어 있으며 홍채인식 센서가 전면 상단부에 탑재되어 있다. 그리고 방수 방진을 지원한다. 등급은 IP68로, 이는 방진 등급은 최고레벨이지만, 방수 등급은 IPX9K 등급보다 1단계 낮다. 또한, 심장 박동 인식 센서가 후면 카메라 모듈 우측면에 존재한다. 여기에 USB Type-C를 입출력 단자로 사용하며 전송 규격으로 최대 USB 3.1 Gen1까지 지원한다.
기기 공개 당시 안드로이드 8.0 오레오를 기본으로 탑재했다. 구체적인 운영체제 버전은 8.0.0이다.
3.1. 기능[편집]
- Always On Display
디스플레이가 꺼진 상황에서도 시계나 캘린더, 전화 그리고 메시지 등 삼성전자가 기본적으로 내장한 애플리케이션의 알림을 디스플레이에 띄워둘 수 있다. 주변 밝기에 따라 표시된 시계의 밝기도 바뀐다. 또한, 번인 현상 방지를 위해 송출된 화면이 1분마다 1픽셀씩 이동하며 1시간 주기로 무작위의 위치로 이동한다.
- SmartThings
삼성전자가 출시한 스마트TV, 패밀리허브 냉장고, 세탁기, 청소기 등 여러 IoT 전자기기를 통합 관리하는 기능이다. 다만, 가전 기기역시 스마트폰에서 제어받는 기능을 지원해야 한다.
- 생체인식 잠금해제
생체인식 기술을 이용해 기기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지문인식 센서와 홍채인식 센서를 이용한 것을 포함해 사용자 편의성을 위한 안면인식 잠금해제 기능[19]을 별도로 탑재했다.- 인텔리전트 스캔
홍채인식 센서와 안면인식 잠금해제 기능을 조도 센서를 이용해 사용하는 환경에 따라 자동으로 선택해 기기 잠금 해제를 작동한다. 홍채인식 센서의 사용이 제한되는 빛이 쨍쨍한 환경에서는 안면인식 잠금해제 기능이 작동하며 반대로 안면인식 잠금해제 기능의 사용이 제한되는 빛이 부족한 환경에서는 홍채인식 센서를 작동한다고 한다.
- 사운드 강화
삼성 엑시노스 9 Series (9810) 탑재 모델은 시러스로직의 CS47L93을 DAC로 별도로 탑재하고 퀄컴 스냅드래곤 845 SDM845 탑재 모델은 옵션 칩셋인 퀄컴의 WDC9341을 그대로 탑재하는 등 DAC는 전작인 갤럭시 S8과 동일한 것을 탑재했으나, 삼성전자가 인수한 하만 산하의 음향 관련 기업인 AKG의 기술이 적용되면서 전체적인 사운드 성능이 개선되었다. 또한, 갤럭시 S 시리즈로는 최초로 스테레오 스피커가 탑재되었으며, 애플의 아이폰 시리즈와 동일하게 하단에 위치한 USB Type-C 단자 옆에 있는 기존 스피커 및 전면 상단 수화부의 두 지점에서 음성이 송출된다. Dolby Atmos 역시 지원한다.
- 카메라 강화
지난 2017년 말에 출시된 心系天下 W2018과 동일하게 후면 카메라에 가변 조리개가 도입되어 촬영 시 환경에 따라 주변 밝기를 10 Lux부터 100,000 Lux까지 감지해 조리개 밝기를 F/1.5와 F/2.4를 자동으로 전환한다.- 슈퍼 슬로우 모션
HD 720p 해상도 촬영에 한해서 960 fps로 촬영이 가능하다. 약 0.2초 간 촬영이 진행되며 총 약 6.4초의 동영상으로 만들어진다고 한다.[20] .gif 파일로 만들거나 배경 음악을 추가할 수 있으며 .gif 파일은 리버스 루프, 포워드 루프, 스윙 등의 무한반복 모드를 적용할 수 있다고 한다. 그리고 이렇게 만들어진 결과물을 잠금화면으로 설정할 수 있다고 한다. 또한 피사체의 움직임을 자동으로 감지해 움직이는 순간 기기 스스로 촬영을 시작하게 할 수도 있다.
한국 내수용 모델인 SM-G960N 기준, 2018년 7월 19일에 실시된 안드로이드 8.0 오레오 마이너 업데이트를 통해 촬영 환경이 변경되었다. 기존 960 fps으로 약 0.2초 간 촬영이 가능하던 것에서 480 fps으로 약 0.4초 간 촬영으로 fps는 반토막이 났지만 촬영 시간이 두 배 증가했다. 이후, 기존 옵션과 변경된 옵션을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수정되었다.
- AR 이모지
카메라로 촬영한 인물 사진을 기반으로 아바타를 만들 수 있는 기능으로 애플의 애니모티콘[21]과 유사한 기능[22]이다. 눈, 코, 입, 뺨, 이마 등 100개 이상의 얼굴 특징점을 인식 및 분석해 피사체의 표정을 실시간으로 따라해서 동영상으로 촬영할 수 있다고 한다. 이외에도 헤어 스타일 및 색상, 안경 착용 그리고 의상 등을 변경할 수 있다고 한다.
- App Pairs
엣지 UI에 애플리케이션 바로가기를 생성할 때 멀티태스킹이 되는 애플리케이션 두 개를 묶어서 멀티윈도우로 동시에 실행하는 기능이다.
- 화면 제스처
안드로이드 9.0 파이 업그레이드를 통해 정식으로 지원한다. 소프트 키를 터치 동작으로 조작하는 것을 기기 하단에서 디스플레이 패널 방향으로 스와이프 동작을 하는 것으로 대신할 수 있으며 소프트 키 숨기기 기능을 대체한다. 기본적으로 어떤 부분에서 스와이프 동작을 해야하는지 알려주는 제스처 힌트 기능이 활성화 되어 기기 하단에 표시되지만 이 마저도 설정에서 비활성화 할 수 있다. 여담으로, 해당 기능을 사용한다 하더라도 기존 홈 버튼 위치의 압력 센서는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할 때는 게임런처 기능 사용을 위해 자동으로 소프트 키가 활성화된다.
3.2. 주변 기기 및 액세서리[편집]
3.2.1. 주변 기기[편집]
- 삼성 기어 VR
2017년 8월에 공개된 기기가 본격 대응 기기를 대체한다. 사용 가능 기기는 다음과 같다.
- 삼성 기어 360
360도 촬영으로 VR 콘텐츠를 생산하는 카메라이다. 사용 가능 기기는 다음과 같다.
- 삼성 DeX
모토로라의 아트릭스 전용 악세서리였던 랩독과 비슷한 컨셉의 도킹 스테이션 방식 주변 기기이다. 디스플레이를 송출할 수 있는 모니터와 키보드 및 마우스 등의 입력장치가 있다면 스마트폰을 PC 본체로 활용하여 일반 PC처럼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운영체제가 안드로이드이긴 하지만, 가상 모드를 이용해 Windows 10을 사용할 수 있다.[24] 또한, 별도로 존재하는 입출력 단자를 이용해 기기를 충전할 수도 있다. 사용 가능 기기는 다음과 같다.- 삼성 DeX 스테이션
디스플레이를 송출할 수 있는 모니터와 키보드 및 마우스 등의 입력장치가 별도로 필요하다. 입출력 단자로 USB Type-A 단자 2개, USB Type-C 단자 1개, HDMI Type-A 단자 1개, Gigabit Ethernet RJ-45 단자 1개가 있다.
- AKG 번들 이어폰
2016년, 삼성전자가 하만을 전장사업 등의 이유로 인수하면서 하만 산하에 있던 여러 음향 관련 기업 역시 인수하게 되었다. 그 중 하나인 AKG의 기술이 적용된 번들 이어폰을 제공한다고 한다.
- 투명 실리콘 케이스
측면과 후면만 보호해준다. 특이하게 박스 기본 구성품에 포함되어 있다. 이는 한국 시장도 마찬가지이다. 다만, 강제적인 사항은 아니기 때문에 일부 국가 혹은 지역에서는 포함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3.2.2. 액세서리[편집]
- 프로텍티브 스탠딩 커버
미국 육군의 MIL-STD-810G 인증을 받았으며 기기 내구도를 강화해주는 커버 악세서리이다. 또한, 후면에 기기를 지탱해주는 받침대가 있어서 스탠딩 모드로 사용할 수 있다.
- 하이퍼니트 커버
주로 운동화에 사용되는 누빔 직물로 제작된 커버 악세서리이다.
- 실리콘 커버
실리콘 소재의 커버 악세서리이다. 측면과 후면만 보호해준다. 전작인 갤럭시 S8에도 이미 존재했던 커버 악세서리이다.
4. 출시[편집]
2018년 3월 16일, 글로벌 시장에 정식 출시될 예정이며 각 국가 혹은 지역 상황에 따라 순차적으로 출시된다고 밝혔다.
또한, 전작인 갤럭시 S8과 동일하게 전면 삼성전자 로고 삭제 정책이 확대 적용되어 기본적으로 들어가질 않는다. 또한, 이동통신사 추노마크 삭제 정책 역시 종전과 동일하게 적용된다. 그리고, 아래 알파벳이 접미된 상태에서 X가 추가로 접미되는 것은 각 국가 혹은 지역 출시 전, 전시 목적으로 삼성전자가 공급한 전시용 모델을 의미한다.
또한, 전작인 갤럭시 S8과 동일하게 전면 삼성전자 로고 삭제 정책이 확대 적용되어 기본적으로 들어가질 않는다. 또한, 이동통신사 추노마크 삭제 정책 역시 종전과 동일하게 적용된다. 그리고, 아래 알파벳이 접미된 상태에서 X가 추가로 접미되는 것은 각 국가 혹은 지역 출시 전, 전시 목적으로 삼성전자가 공급한 전시용 모델을 의미한다.
4.1. 한국 출시[편집]
기기 공개와 동시에 마이크로 사이트가 개설되었다. 해당 사이트를 통해 한국 시장에는 기본 색상 중 미드나잇 블랙, 코랄 블루, 라일락 퍼플 색상으로 총 3종의 색상만 출시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출고가가 공개되었다. 마이크로 사이트에 나타난대로 티타늄 그레이 색상은 출시되지 않는다. 64 GB 모델만 출시되고 957,000 원으로 책정되었으며 동년 2월 28일부터 사전 예약 판매를 실시할 예정이라고 한다. 특히, 전작인 갤럭시 S8과 동일하게 한국 내수용 모델 1종만 출시하면서 SK텔레콤, KT 그리고 LG U+를 통해 동일한 하나의 기기만 공급하면서 동시에 단말기 자급제로도 출시된다고 한다. 또한, 2017년 포항 지진으로 인해 재난 방송의 중요성이 강구되자 한국 정부가 관련 정책을 결정함에 따라 FM 라디오가 기본적으로 탑재되었다고 한다.
2018년 2월 28일, 한국 시장에서 사전 예약 판매가 실시되었다. 이동통신사인 SK텔레콤, KT 그리고 LG U+를 통해 진행되었으며 동시에 삼성전자 스토어를 통해서도 진행되었다. 특히, 삼성전자 스토어는 단말기 자급제로만 판매되고 기존 출고가를 그대로 적용한다고 밝혔다.[28] 또한, 펄어비스와의 제휴로 검은사막 모바일 프로모션을 실시하며 게임 아이템 쿠폰 등을 제공한다고 한다.
2018년 5월 16일, 추가 색상으로 버건디 레드 색상과 선라이즈 골드 색상이 공개되었다. 버건디 레드 색상은 동년 5월 25일에 정식으로 출시된다고 하며 선라이즈 골드 색상은 동년 6월 초에 정식으로 출시된다고 한다.
2018년 5월 25일, 추가 색상인 버건디 레드 색상이 한국 시장에 정식으로 출시되었다. 이어서 동년 6월 8일, 선라이즈 골드 색상도 한국 시장에 정식으로 출시되었다.
2018년 11월 15일, 추가 색상으로 폴라리스 블루 색상이 공개되었다. 중국 시장에서 추가 색상으로 공개된 아이스 블루 색상과 동일 색상으로 한국 시장에는 형제 모델인 갤럭시 S9+로는 출시되지 않는다고 한다. 다음 날인 동년 11월 16일, 한국 시장에 정식으로 출시되었다.
2019년 2월 1일, 출고가가 858,000 원으로 인하되었다.
2018년 2월 28일, 한국 시장에서 사전 예약 판매가 실시되었다. 이동통신사인 SK텔레콤, KT 그리고 LG U+를 통해 진행되었으며 동시에 삼성전자 스토어를 통해서도 진행되었다. 특히, 삼성전자 스토어는 단말기 자급제로만 판매되고 기존 출고가를 그대로 적용한다고 밝혔다.[28] 또한, 펄어비스와의 제휴로 검은사막 모바일 프로모션을 실시하며 게임 아이템 쿠폰 등을 제공한다고 한다.
2018년 5월 16일, 추가 색상으로 버건디 레드 색상과 선라이즈 골드 색상이 공개되었다. 버건디 레드 색상은 동년 5월 25일에 정식으로 출시된다고 하며 선라이즈 골드 색상은 동년 6월 초에 정식으로 출시된다고 한다.
2018년 5월 25일, 추가 색상인 버건디 레드 색상이 한국 시장에 정식으로 출시되었다. 이어서 동년 6월 8일, 선라이즈 골드 색상도 한국 시장에 정식으로 출시되었다.
2018년 11월 15일, 추가 색상으로 폴라리스 블루 색상이 공개되었다. 중국 시장에서 추가 색상으로 공개된 아이스 블루 색상과 동일 색상으로 한국 시장에는 형제 모델인 갤럭시 S9+로는 출시되지 않는다고 한다. 다음 날인 동년 11월 16일, 한국 시장에 정식으로 출시되었다.
2019년 2월 1일, 출고가가 858,000 원으로 인하되었다.
4.2. 한국 외 지역[편집]
미국에는 기기 공개와 동시에 마이크로 사이트가 개설되었다. 해당 사이트를 통해 기본 색상 중 미드나잇 블랙, 코랄 블루, 라일락 퍼플 색상으로 총 3종의 색상만 출시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전작인 갤럭시 S8과 동일하게 퀄컴 스냅드래곤 845 SDM845를 모바일 AP로 탑재한 미국 내수용 모델 1종만 출시되었다. 버라이즌 와이어리스, AT&T, 스프린트 코퍼레이션, T-모바일 US, US 셀룰러 등 대형 이동통신사를 포함해 지역 이동통신사들을 통해서도 출시되었으며 이들 모두 단일 모델로만 전부 공급한다. 사전 예약 판매는 2018년 3월 2일부터 실시되었다.
중국에는 퀄컴 스냅드래곤 845 SDM845를 모바일 AP로 탑재한 중국 오픈 모델과 차이나모바일 모델로 총 2종이 출시되었다. 중국 오픈 모델은 중국 시장 기준, 64 GB 모델과 256 GB 모델이 출시되지만 차이나모바일 모델은 64 GB 모델만 출시되었다. 또한, 홍콩과 라틴아메리카 지역에도 중국 오픈 모델이 그대로 출시되었다.
일본에는 퀄컴 스냅드래곤 845 SDM845를 모바일 AP로 탑재하여 NTT 도코모와 KDDI au 계열을 통해서 출시되었다. 기본 색상 중 미드나잇 블랙, 티타늄 그레이, 라일락 퍼플 색상으로 총 3종의 색상만 출시되고 64 GB 모델만 출시되었으며 각 이동통신사들이 자체적으로 서비스하는 4G 이동통신을 추가로 지원한다. 또한, 삼성전자의 일본 시장 공략 정책의 일환으로 삼성전자 이미지를 의도적으로 기기에서 배제하고 있기 때문에 여전히 이동통신사 추노마크를 삽입한다고 한다. 또한 무게가 알 수 없는 이유로 소폭 감소했다.
캐나다에는 퀄컴 스냅드래곤 845 SDM845를 모바일 AP로 탑재한 캐나다 내수용 모델 1종만 출시되었다. 기본 색상 중 티타늄 그레이, 라일락 퍼플 색상으로 총 2종의 색상만 출시되고 64 GB 모델만 출시되었다.
중국에는 퀄컴 스냅드래곤 845 SDM845를 모바일 AP로 탑재한 중국 오픈 모델과 차이나모바일 모델로 총 2종이 출시되었다. 중국 오픈 모델은 중국 시장 기준, 64 GB 모델과 256 GB 모델이 출시되지만 차이나모바일 모델은 64 GB 모델만 출시되었다. 또한, 홍콩과 라틴아메리카 지역에도 중국 오픈 모델이 그대로 출시되었다.
일본에는 퀄컴 스냅드래곤 845 SDM845를 모바일 AP로 탑재하여 NTT 도코모와 KDDI au 계열을 통해서 출시되었다. 기본 색상 중 미드나잇 블랙, 티타늄 그레이, 라일락 퍼플 색상으로 총 3종의 색상만 출시되고 64 GB 모델만 출시되었으며 각 이동통신사들이 자체적으로 서비스하는 4G 이동통신을 추가로 지원한다. 또한, 삼성전자의 일본 시장 공략 정책의 일환으로 삼성전자 이미지를 의도적으로 기기에서 배제하고 있기 때문에 여전히 이동통신사 추노마크를 삽입한다고 한다. 또한 무게가 알 수 없는 이유로 소폭 감소했다.
캐나다에는 퀄컴 스냅드래곤 845 SDM845를 모바일 AP로 탑재한 캐나다 내수용 모델 1종만 출시되었다. 기본 색상 중 티타늄 그레이, 라일락 퍼플 색상으로 총 2종의 색상만 출시되고 64 GB 모델만 출시되었다.
4.3. 특별판 모델[편집]
4.3.1. Galaxy S9 Microsoft Edition[편집]
2018년 3월 9일, 전작인 갤럭시 S8과 동일하게 마이크로소프트와 제휴한 특별판 모델이 예고도 없이 사전 예약 판매를 실시했다. 퀄컴 스냅드래곤 845 SDM845를 모바일 AP로 탑재한 미국 내수용 모델인 SM-G960U가 그대로 출시되었으며 64 GB 모델만 출시되었다. 출고가는 $719.99로 책정되었다.
비록 Windows 10 Mobile을 운영체제로 탑재하지 않았지만[29] 기본적으로 마이크로소프트가 개발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런처를 탑재했으며 Office 365를 비롯한 마이크로소프트의 각종 콘텐츠들이 기본적으로 탑재되었다.
비록 Windows 10 Mobile을 운영체제로 탑재하지 않았지만[29] 기본적으로 마이크로소프트가 개발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런처를 탑재했으며 Office 365를 비롯한 마이크로소프트의 각종 콘텐츠들이 기본적으로 탑재되었다.
5. 소프트웨어 지원[편집]
5.1. 제조사 공식[편집]
5.1.1. 8.0 오레오 마이너 업데이트[편집]
2018년 3월 13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SM-G960N의 안드로이드 8.0 오레오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8.0.0이며 빌드 버전은 ARC7이다. 해당 업데이트를 통해 카메라 동작 관련 안정화 코드가 추가되었고 지문인식 관련 안정화 패치가 적용되었으며, AR 이모지 기능의 사용성이 개선되었으며 기기의 전반적인 성능이 향상되었다고 한다.
2018년 3월 28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SM-G960N의 안드로이드 8.0 오레오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8.0.0이며 빌드 버전은 ARCD이다. 해당 업데이트를 통해 삼성 DeX 사용 시 가상 키보드를 지원하게 되었고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이 간헐적으로 우측으로 치우치는 현상이 개선되었다고 한다.
2018년 5월 15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SM-G960N의 안드로이드 8.0 오레오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8.0.0이며 빌드 버전은 ARD6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8년 4월 1일이다. 해당 업데이트를 통해 동영상을 스트리밍으로 재생할 때 간헐적으로 잡음이 발생하던 현상이 개선되었고 간헐적으로 알림이 표시되지 않았던 현상과 특정 상황에서 알림창이 완전히 내려오지 않았던 현상이 개선되었고 카메라 동작 관련 안정화 코드가 적용되었다고 한다.
2018년 7월 19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SM-G960N의 안드로이드 8.0 오레오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8.0.0이며 빌드 버전은 ARG5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8년 7월 1일이다. 해당 업데이트를 통해 AR 이모지와 카메라의 사용성이 개선되었고 슈퍼 슬로우 모션에서 수동 모드 촬영 환경이 480 fps으로 약 0.4초 간 촬영이 가능한 것으로 변경[31]되었으며 단말기 보안 안정화 코드가 적용되었다.
2018년 8월 2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SM-G960N의 안드로이드 8.0 오레오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8.0.0이며 빌드 버전은 ARG7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8년 7월 1일이다. 해당 업데이트를 통해 슈퍼 슬로우 모션에서 수동 모드 촬영 환경이 480 fps으로 약 0.4초 간 촬영하는 옵션과 기존의 960 fps으로 약 0.2초 간 촬영하는 옵션을 선택할 수 있도록 변경되었다.
2018년 8월 21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SM-G960N의 안드로이드 8.0 오레오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8.0.0이며 빌드 버전은 ARH1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8년 7월 1일이다. 해당 업데이트를 통해 음성 통화의 품질이 안정화되었고 단말기 보안 안정화 코드가 적용되었다. 다만, 알 수 없는 이유로 SK텔레콤을 통해서만 우선적으로 실시되었다.
2018년 10월 16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SM-G960N의 안드로이드 8.0 오레오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8.0.0이며 빌드 버전은 ARJ2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8년 10월 1일이다. 해당 업데이트를 통해 카메라 촬영 결과물의 화질이 향상되었고 단말기 보안 관련 안정화 코드가 적용되었다.
2018년 3월 28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SM-G960N의 안드로이드 8.0 오레오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8.0.0이며 빌드 버전은 ARCD이다. 해당 업데이트를 통해 삼성 DeX 사용 시 가상 키보드를 지원하게 되었고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이 간헐적으로 우측으로 치우치는 현상이 개선되었다고 한다.
2018년 5월 15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SM-G960N의 안드로이드 8.0 오레오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8.0.0이며 빌드 버전은 ARD6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8년 4월 1일이다. 해당 업데이트를 통해 동영상을 스트리밍으로 재생할 때 간헐적으로 잡음이 발생하던 현상이 개선되었고 간헐적으로 알림이 표시되지 않았던 현상과 특정 상황에서 알림창이 완전히 내려오지 않았던 현상이 개선되었고 카메라 동작 관련 안정화 코드가 적용되었다고 한다.
2018년 7월 19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SM-G960N의 안드로이드 8.0 오레오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8.0.0이며 빌드 버전은 ARG5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8년 7월 1일이다. 해당 업데이트를 통해 AR 이모지와 카메라의 사용성이 개선되었고 슈퍼 슬로우 모션에서 수동 모드 촬영 환경이 480 fps으로 약 0.4초 간 촬영이 가능한 것으로 변경[31]되었으며 단말기 보안 안정화 코드가 적용되었다.
2018년 8월 2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SM-G960N의 안드로이드 8.0 오레오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8.0.0이며 빌드 버전은 ARG7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8년 7월 1일이다. 해당 업데이트를 통해 슈퍼 슬로우 모션에서 수동 모드 촬영 환경이 480 fps으로 약 0.4초 간 촬영하는 옵션과 기존의 960 fps으로 약 0.2초 간 촬영하는 옵션을 선택할 수 있도록 변경되었다.
2018년 8월 21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SM-G960N의 안드로이드 8.0 오레오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8.0.0이며 빌드 버전은 ARH1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8년 7월 1일이다. 해당 업데이트를 통해 음성 통화의 품질이 안정화되었고 단말기 보안 안정화 코드가 적용되었다. 다만, 알 수 없는 이유로 SK텔레콤을 통해서만 우선적으로 실시되었다.
2018년 10월 16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SM-G960N의 안드로이드 8.0 오레오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8.0.0이며 빌드 버전은 ARJ2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8년 10월 1일이다. 해당 업데이트를 통해 카메라 촬영 결과물의 화질이 향상되었고 단말기 보안 관련 안정화 코드가 적용되었다.
5.1.2. 9.0 파이[편집]
2018년 11월 12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SM-G960N, 미국 내수용 모델인 SM-G960U, 중국 오픈 모델인 SM-G9600, 중국이동 모델인 SM-G9608, 캐나다 내수용 모델인 SM-G960W, 글로벌 싱글심 모델인 SM-G960F 그리고 글로벌 듀얼심 모델인 SM-G960F/DS의 안드로이드 9.0 파이 기반 Wi-Fi 재인증이 통과되었다.
2018년 11월 15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SM-G960N의 안드로이드 9.0 파이 베타 테스트가 실시되었다. 삼성 멤버스를 통해 대상자를 10,000 명 한정 선착순으로 신청받았고, OTA 방식으로만 업그레이드가 진행되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Samsung One UI[32]의 베타 테스트 역시 동시에 진행된다. 배포된 베타 테스트 펌웨어의 운영체제 버전은 9.0.0이며 빌드 버전은 ZRK9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8년 11월 1일이다.
2018년 11월 16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SM-G960N의 안드로이드 9.0 파이 베타 테스트 펌웨어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배포된 베타 테스트 펌웨어의 운영체제 버전은 9.0.0이며 빌드 버전은 ZRKA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8년 11월 1일이다. 1차 배포 베타 테스트 펌웨어 대비, 고음질의 음악 파일을 재생한 후 간헐적으로 굉음이 발생하는 이슈가 수정되었고 로밍 상태에서 SK텔레콤의 T전화를 통한 발신이 안되는 이슈가 수정되었다고 한다.
2018년 11월 20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SM-G960N의 안드로이드 9.0 파이 베타 테스트 펌웨어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배포된 베타 테스트 펌웨어의 운영체제 버전은 9.0.0이며 빌드 버전은 ZRKC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8년 11월 1일이다. 2차 배포 베타 테스트 대비, Good Lock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이 비활성화 되었다.
2018년 11월 27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SM-G960N의 안드로이드 9.0 파이 베타 테스트 펌웨어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배포된 베타 테스트 펌웨어의 운영체제 버전은 9.0.0이며 빌드 버전은 ZRKJ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8년 11월 1일이다. 3차 배포 베타 테스트 대비, 기존까지 지적되었던 여러 버그들이 수정 및 개선되었다.
2018년 12월 10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SM-G960N의 안드로이드 9.0 파이 베타 테스트 펌웨어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배포된 베타 테스트 펌웨어의 운영체제 버전은 9.0.0이며 빌드 버전은 ZRL5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8년 12월 1일이다. 4차 배포 베타 테스트 대비, 기존까지 지적되었던 여러 버그들이 수정 및 개선되었다.
2018년 12월 13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SM-G960N의 안드로이드 9.0 파이 베타 테스트 펌웨어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배포된 베타 테스트 펌웨어의 운영체제 버전은 9.0.0이며 빌드 버전은 ZRLA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8년 12월 1일이다. 5차 배포 베타 테스트 대비, 벨소리 모드 상태에서도 진동 모드로 오작동하는 문제가 해결되었고 야간 모드에서의 애플리케이션 메뉴[33] 시인성이 개선되었고 삼성 테마 사용이 가능해졌다.
2018년 12월 18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SM-G960N의 안드로이드 9.0 파이 베타 테스트 펌웨어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배포된 베타 테스트 펌웨어의 운영체제 버전은 9.0.0이며 빌드 버전은 ZRLF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8년 12월 1일이다. 5차 배포 베타 테스트 대비, 삼성 계정 관련 버그, 제스처 기능 버그 그리고 전화 관련 버그 등 여러가지 지적된 문제점들이 수정 및 개선되었다.
2018년 12월 21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SM-G960N의 안드로이드 9.0 파이 베타 테스트 펌웨어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배포된 베타 테스트 펌웨어의 운영체제 버전은 9.0.0이며 빌드 버전은 ZRLJ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8년 12월 1일이다. 6차 배포 베타 테스트 대비, 기존까지 지적되었던 여러 버그들이 수정 및 개선되었다.
2018년 12월 24일, 글로벌 싱글심 모델인 SM-G960F의 안드로이드 9.0 파이 업그레이드가 실시되었다. 최초 운영체제 버전은 9.0.0이며 빌드 버전은 CRLI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8년 12월 1일이다. 해당 업그레이드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Samsung One UI 1.0으로 업데이트 되었다. 독일부터 실시되었다.
2018년 12월 25일, 삼성전자의 공식 애플리케이션인 삼성 멤버스를 통해 안드로이드 9.0 파이 업그레이드 대상 기기 목록을 공개하면서 2019년 1월 중에 실시됨을 예고했다. 단, 국가 및 지역 별로 운영되는 삼성 멤버스 특성 상, 해당 국가 및 지역이 어디인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2018년 12월 27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SM-G960N의 안드로이드 9.0 파이 베타 테스트 펌웨어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배포된 베타 테스트 펌웨어의 운영체제 버전은 9.0.0이며 빌드 버전은 ZRLK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8년 12월 1일이다. 7차 배포 베타 테스트 대비, 기존까지 지적되었던 여러 버그들이 수정 및 개선되었다. 다만, 압력 센서 방식의 소프트 키 홈 버튼이 인식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고 한다.
2018년 12월 28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SM-G960N의 안드로이드 9.0 파이 베타 테스트 펌웨어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배포된 베타 테스트 펌웨어의 운영체제 버전은 9.0.0이며 빌드 버전은 ZRLL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8년 12월 1일이다. 8차 배포 베타 테스트 대비, 제스처 모드에서 압력 센서 방식의 소프트 키 홈 버튼이 인식되도록 개선되었다.
2019년 1월 8일, 구글의 안드로이드 엔터프라이즈에 안드로이드 9.0 파이 안내 이미지가 추가되었다.
2019년 1월 15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SM-G960N의 안드로이드 9.0 파이 업그레이드가 실시되었다. 최초 운영체제 버전은 9.0.0이며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8년 12월 1일이다. 해당 업그레이드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Samsung One UI 1.0으로 업데이트 되었고 RCS 문자메시지 서비스인 채팅 메시지 서비스를 지원한다. 다만, 알 수 없는 이유로 SK텔레콤과 KT를 통해서만 우선적으로 실시되었다.[34] 여담으로, 한국 내수용 모델인 SM-G960N은 SK텔레콤, KT, LG U+ 그리고 단말기 자급제까지 모두 단일 모델로 출시되었음에도 이동통신사에 따라 빌드 버전이 달라지게 되었다. 빌드 버전은 SK텔레콤만 CRLN이고 나머지가 CRLL이다.[35]
2019년 1월 25일, 삼성전자의 공식 애플리케이션인 삼성 멤버스를 통해 중국 시장에서의 안드로이드 9.0 파이 업그레이드 대상 기기 목록을 공개하면서 2019년 1월 중에 실시됨을 예고했다.
2018년 11월 15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SM-G960N의 안드로이드 9.0 파이 베타 테스트가 실시되었다. 삼성 멤버스를 통해 대상자를 10,000 명 한정 선착순으로 신청받았고, OTA 방식으로만 업그레이드가 진행되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Samsung One UI[32]의 베타 테스트 역시 동시에 진행된다. 배포된 베타 테스트 펌웨어의 운영체제 버전은 9.0.0이며 빌드 버전은 ZRK9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8년 11월 1일이다.
2018년 11월 16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SM-G960N의 안드로이드 9.0 파이 베타 테스트 펌웨어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배포된 베타 테스트 펌웨어의 운영체제 버전은 9.0.0이며 빌드 버전은 ZRKA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8년 11월 1일이다. 1차 배포 베타 테스트 펌웨어 대비, 고음질의 음악 파일을 재생한 후 간헐적으로 굉음이 발생하는 이슈가 수정되었고 로밍 상태에서 SK텔레콤의 T전화를 통한 발신이 안되는 이슈가 수정되었다고 한다.
2018년 11월 20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SM-G960N의 안드로이드 9.0 파이 베타 테스트 펌웨어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배포된 베타 테스트 펌웨어의 운영체제 버전은 9.0.0이며 빌드 버전은 ZRKC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8년 11월 1일이다. 2차 배포 베타 테스트 대비, Good Lock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이 비활성화 되었다.
2018년 11월 27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SM-G960N의 안드로이드 9.0 파이 베타 테스트 펌웨어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배포된 베타 테스트 펌웨어의 운영체제 버전은 9.0.0이며 빌드 버전은 ZRKJ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8년 11월 1일이다. 3차 배포 베타 테스트 대비, 기존까지 지적되었던 여러 버그들이 수정 및 개선되었다.
2018년 12월 10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SM-G960N의 안드로이드 9.0 파이 베타 테스트 펌웨어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배포된 베타 테스트 펌웨어의 운영체제 버전은 9.0.0이며 빌드 버전은 ZRL5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8년 12월 1일이다. 4차 배포 베타 테스트 대비, 기존까지 지적되었던 여러 버그들이 수정 및 개선되었다.
2018년 12월 13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SM-G960N의 안드로이드 9.0 파이 베타 테스트 펌웨어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배포된 베타 테스트 펌웨어의 운영체제 버전은 9.0.0이며 빌드 버전은 ZRLA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8년 12월 1일이다. 5차 배포 베타 테스트 대비, 벨소리 모드 상태에서도 진동 모드로 오작동하는 문제가 해결되었고 야간 모드에서의 애플리케이션 메뉴[33] 시인성이 개선되었고 삼성 테마 사용이 가능해졌다.
2018년 12월 18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SM-G960N의 안드로이드 9.0 파이 베타 테스트 펌웨어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배포된 베타 테스트 펌웨어의 운영체제 버전은 9.0.0이며 빌드 버전은 ZRLF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8년 12월 1일이다. 5차 배포 베타 테스트 대비, 삼성 계정 관련 버그, 제스처 기능 버그 그리고 전화 관련 버그 등 여러가지 지적된 문제점들이 수정 및 개선되었다.
2018년 12월 21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SM-G960N의 안드로이드 9.0 파이 베타 테스트 펌웨어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배포된 베타 테스트 펌웨어의 운영체제 버전은 9.0.0이며 빌드 버전은 ZRLJ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8년 12월 1일이다. 6차 배포 베타 테스트 대비, 기존까지 지적되었던 여러 버그들이 수정 및 개선되었다.
2018년 12월 24일, 글로벌 싱글심 모델인 SM-G960F의 안드로이드 9.0 파이 업그레이드가 실시되었다. 최초 운영체제 버전은 9.0.0이며 빌드 버전은 CRLI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8년 12월 1일이다. 해당 업그레이드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Samsung One UI 1.0으로 업데이트 되었다. 독일부터 실시되었다.
2018년 12월 25일, 삼성전자의 공식 애플리케이션인 삼성 멤버스를 통해 안드로이드 9.0 파이 업그레이드 대상 기기 목록을 공개하면서 2019년 1월 중에 실시됨을 예고했다. 단, 국가 및 지역 별로 운영되는 삼성 멤버스 특성 상, 해당 국가 및 지역이 어디인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2018년 12월 27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SM-G960N의 안드로이드 9.0 파이 베타 테스트 펌웨어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배포된 베타 테스트 펌웨어의 운영체제 버전은 9.0.0이며 빌드 버전은 ZRLK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8년 12월 1일이다. 7차 배포 베타 테스트 대비, 기존까지 지적되었던 여러 버그들이 수정 및 개선되었다. 다만, 압력 센서 방식의 소프트 키 홈 버튼이 인식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고 한다.
2018년 12월 28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SM-G960N의 안드로이드 9.0 파이 베타 테스트 펌웨어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배포된 베타 테스트 펌웨어의 운영체제 버전은 9.0.0이며 빌드 버전은 ZRLL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8년 12월 1일이다. 8차 배포 베타 테스트 대비, 제스처 모드에서 압력 센서 방식의 소프트 키 홈 버튼이 인식되도록 개선되었다.
2019년 1월 8일, 구글의 안드로이드 엔터프라이즈에 안드로이드 9.0 파이 안내 이미지가 추가되었다.
2019년 1월 15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SM-G960N의 안드로이드 9.0 파이 업그레이드가 실시되었다. 최초 운영체제 버전은 9.0.0이며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8년 12월 1일이다. 해당 업그레이드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Samsung One UI 1.0으로 업데이트 되었고 RCS 문자메시지 서비스인 채팅 메시지 서비스를 지원한다. 다만, 알 수 없는 이유로 SK텔레콤과 KT를 통해서만 우선적으로 실시되었다.[34] 여담으로, 한국 내수용 모델인 SM-G960N은 SK텔레콤, KT, LG U+ 그리고 단말기 자급제까지 모두 단일 모델로 출시되었음에도 이동통신사에 따라 빌드 버전이 달라지게 되었다. 빌드 버전은 SK텔레콤만 CRLN이고 나머지가 CRLL이다.[35]
2019년 1월 25일, 삼성전자의 공식 애플리케이션인 삼성 멤버스를 통해 중국 시장에서의 안드로이드 9.0 파이 업그레이드 대상 기기 목록을 공개하면서 2019년 1월 중에 실시됨을 예고했다.
5.2. 커스터마이징[편집]
6. 논란 및 문제점[편집]
7. 기타[편집]
- 전작인 갤럭시 S8과는 달리 USB micro Type-B 단자 → USB Type-C 단자 변환 젠더가 박스 패키징에 포함되지 않았다.
- 한국 내수용 모델인 SM-G960N 기준, 전시가 진행된 지 만 하루도 채 지나지 않은 시점에 시스템 덤프가 추출되었다고 한다.
7.1. 홍보 영상[편집]
- 촬영지는 칠레 산티아고 인근의 El Yeso Dam이며 배경음악은 이매진 드래곤스의 Walking the Wire이다.
7.2. 관련 영상[편집]
8. 공개 전 루머[편집]
[1] 스페인의 바르셀로나에서 개최되는 MWC 2018과 비슷한 시기에 공개되었지만, 정확히 말해서 MWC 2018 개최 직전에 공개되어 MWC 2018에서 공개된 것은 아니다. 따라서 MWC 2018에서 공개되었다는 문구는 기재하지 않는다.[2] 한국 출시 당시 기본 색상에 볼드 처리[P] 3.1 3.2 2018년 12월 24일 기준, 글로벌 싱글심 모델인 SM-G960F만 실시.[5] 지원 모델 추가 지원.[6] 제품 공개 당시 같이 공개된 기본 색상에 볼드 처리[7] 최소 3분간 저압으로 분출되는 물로부터 보호된다. 여담으로, 일본 내수용 모델인 SM-G960D/J 뿐만이 아니라 전 기기가 지원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삼성전자는 일본 시장 이외의 국가 및 지역에는 저압 분사 규격을 공시하지 않고 있다.[8] 다만, 엑시노스 8 Octa (8890)과는 달리 벤치마크 부스터가 아니냐는 의혹이 있어 논란이 되었다.[9] 즉, 엄밀히 말하면 2K 해상도에서 확장된 해상도이다. 다만, 그만큼 2K 해상도 대비 해상도가 높아졌기 때문에 3K 해상도라 지칭하는 경우도 존재한다.[10] 아이폰 시리즈의 탭틱 엔진 홈 버튼과 유사하게 강하게 누르면 누르는 듯한 반응이 오고 반대로 떼어내면 눌리는 느낌이 없어지면서 홈 화면으로 나온다.[11] 이 때문에 삼성전자는 해당 부분을 홍보할 때, 물리 홈 버튼을 디스플레이 내부로 옮긴 것이라 표현하고 있다.[12] Full-HD 해상도 대비 세로 부분이 확장된 해상도이다. 삼성전자는 이를 Full-HD+로 지칭하고 있다.[13] HD 720p 해상도 대비 세로 부분이 확장된 해상도인 1480 x 720 해상도와 2220 x 1080 해상도 그리고 2960 x 1440 해상도까지 3단계로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대해 2220 x 1080 해상도와 2960 x 1440 해상도는 육안으로 크게 구별되지 않지만 1480 x 720 해상도와 2220 x 1080 해상도는 육안으로 확연하게 느껴진다고 한다.[14] 참고로, LTE Category는 FDD 주파수와 TDD 주파수 모두 통용된다.[15] 퀄컴 스냅드래곤 845 SDM845 자체는 퀄컴 퀵 차지 3.0 규격 및 퀄컴 퀵 차지 4+ 규격을 지원하지만 삼성전자가 의도적으로 제한을 둔 것으로 보인다. 여담으로, 퀄컴 퀵 차지 3.0 규격은 하위 규격과 호환성을 가지지만 퀄컴 퀵 차지 4.0 규격부터는 하위 규격과 호환성을 가지지 않고 대신 USB Power Delivery 2.0 규격과 호환성을 가진다.[16] USB Power Delivery 2.0 규격은 최대 100 W의 전력을 지원하지만 삼성전자는 최대 9 V 1.67 A 즉, 15 W의 전력만을 지원한다고 한다. 즉, 지원하는 고속충전 기술들이 모두 최대 15 W까지만 지원한다.[Z] 17.1 17.2 단, 혼용 탑재가 아니고 삼성 엑시노스 9 Series (9810) 탑재 모델에는 삼성전자 시스템 LSI 사업부의 카메라 센서가 탑재되고 퀄컴 스냅드래곤 845 SDM845 탑재 모델에는 소니의 카메라 센서가 탑재되는 이원화 탑재라는 주장도 존재한다. 다만, 공식적으로 확인된 내용은 아니다.[19] 지문인식 센서가 전면에서 후면으로 이동해서 편의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며 홍채인식 센서는 기술 특성 상, 인식 시간이 상대적으로 길다. 이 때문에 보안성은 낮지만 기기 잠금해제만을 위한 별도의 기능을 탑재한 것으로 보인다.[20] 이는 소니 모바일의 엑스페리아 XZ 프리미엄과 비교할 때 약 0.018초 오래 촬영할 수 있으며 출력물 역시 약 0.4초 늘어난 것이다.[21] 애니모지라는 명칭으로도 잘 알려져있으나, 애플 공식 사이트에 의한 정식 한국어 표기는 애니모티콘이다.[22] 다만, 애니모티콘과 비교하면 인식률과 재현률이 떨어지는 편이라 구색 맞추기 용이라는 평가가 많다.[23] 단, 기본 음악 애플리케이션인 삼성 뮤직을 사용할 때에만 해당된다. 재생하는 음악의 앨범 아트에서 가장 높은 비중의 색상으로 나온다.[24] 가상 머신 역시 기기에서 직접 구동하는 것은 아니며 VMware Horizon 등의 서버 컴퓨터에서 구동한 다음 기기에서 사용하는 방식이다.[25] 커버와 이격시켜도 우측 엣지 디스플레이가 축이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완전히 분리되지는 않는다.[26] 도레이에서 개발하고 2017년 기준으로, Alcantara SpA에서 생산하고 있는 합성직물로, 엄밀히 말하면 가죽은 아니다. 스웨이드에 가까운 재질로 천연 스웨이드보다 훨씬 뛰어난 내구성을 지녔다고 한다. 주로 고급 자동차 내장재로 사용된다고 한다.[27] 대표적으로 라틴아메리카 지역에 글로벌 듀얼심 모델인 SM-G960F/DS가 아닌 중국 오픈 모델인 SM-G9600이 공급된다.[28] 물론, 삼성전자 스토어 및 디지털프라자를 통해 무약정 기기가 판매되긴 했었으나, 이동통신사에 공급할 기기를 중간에서 돌려오는 형태의 유통망을 거쳤고 이로 인해 중간 유통 과정이 증가함에 따라 출고가보다 10% 정도 더 높은 가격으로 판매되었다. 단일 모델 정책이 적용된 전작인 갤럭시 S8역시 단말기 자급제로는 출시되지 않아서 이동통신사보다 더 높은 가격으로 판매되었다. 즉, 이번부터 기존 출고가대로 판매된다는 것은 아예 단말기 자급제를 위한 별도의 물량이 배정되어 유통 과정을 이동통신사 공급 시와 동일하게끔 만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29] 사실 이미 2017년 10월에 마이크로소프트가 점유율 등의 이유로 Windows 10 Mobile 서비스를 중단한 상황이라 탑재 자체가 어려웠다.[30] 이는 애플이나 LG전자 등 다른 제조사들도 마찬가지이다. 다만, 각 기기의 박스 패키징에 부착된 시리얼 넘버를 확인하지 않는 이상 애플과 LG전자는 일반 사용자가 평상시에 구분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고 삼성전자는 기기 고객지원 사이트의 URL에서 차이점을 찾아 구분할 수 있다.[31] 다만, 기존의 960 fps으로 약 0.2초 간 촬영이 가능한 것과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아예 대체되었기 때문에 관련 커뮤니티 등지에서 비판 의견이 나오고 있다. 이후, 삼성전자는 펌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선택 옵션을 추가하겠다고 밝혔다.[32] 당시 기준, 내부 소프트웨어 정보 상 Samsung Experience 10.0로 인식되었다. 이 때문에 Samsung One UI가 브랜드 명칭으로 활용되고 Samsung Experience는 내부적으로 프레임워크를 통칭하는 명칭으로 사용되어 이원화되는 것인지 아니면 아예 명칭이 변경되었지만 삼성 터치위즈에서 Samsung Experience로 넘어올 때의 전례처럼 일부 소프트웨어 데이터에서 수정된 명칭이 적용되지 않은 것인지 구체적인 이유에 대해서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후, 내부 소프트웨어 정보에서도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가 Samsung One UI 1.0으로 수정되어 인식되게끔 변경되었다.[33] 각각의 애플리케이션 메뉴가 아닌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길게 눌렀을 때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의 메뉴를 의미한다.[34] 단말기 자급제 및 MVNO 통신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다. 이는 RCS 자체가 이동통신사에서 주도적으로 제공해야 하는 서비스이기 때문이다. 여담으로, 이미 한 차례 서비스했던 기능으로 기존에는 joyn이라는 명칭으로 서비스를 실시했었다.[35] 이는 아무리 단일 모델로 공급되었다 하더라도 펌웨어 업데이트 시 이동통신사 검수 과정은 개별 모델로 공급될 때와 동일하게 실시되기 때문이다. 즉, 제조사인 삼성전자가 새로운 펌웨어를 준비했으면 이론 상 이동통신사가 어디든 그대로 설치될 수 있으나, 이동통신사 검수 과정이 중간에 추가되면서 합불판정이 달라지게 되면 이쪽에서는 그대로 진행되고 다른 쪽에서는 다시 검수를 받기 위해서 펌웨어를 빌드하게 되는 상황이 되어버린다.[36] 이 때문에 전작인 갤럭시 S8과 디스플레이 보호 필름 액세서리가 호환된다고 한다. 다만, 케이스 액세서리의 경우 장착은 가능하지면 후면 카메라 모듈 및 지문인식 센서와 심장 박동 인식 센서의 위치 문제로 인해 일부러 공용으로 만든 물건이 아니라면 호환되지 않는다.[37] 애플의 아이폰 시리즈는 아이폰 8 & 아이폰 8 Plus 그리고 아이폰 X부터 이미 지원했다.[38] 다른 하나는 형제 모델인 갤럭시 S9+이다.[39] 한국 시장 이외의 지역에는 큰 이변이 없지않는한 12시 45분으로 고정되어있다.
728x90
반응형
'여러가지 것들 >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갤럭시노트8 에 대해서 알아보자 , 모든순간을 가장 나답게 (0) | 2019.02.07 |
---|---|
갤럭시S8 에 대한 정보들을 알아보자. 갤S8 를 알아보자. (0) | 2019.02.07 |
아이패드에 대한 정보들 . 애플사의 아이패드 (0) | 2019.02.07 |
갤럭시S7 엣지에 대한 정보들을 알아보자. [냄선생] (0) | 2019.02.06 |
스마트폰에 대해서 알아보자 [냄선생] (0) | 2019.02.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