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가지 것들/잡템153 심지어는 빨간 된장맛 육수에 콩 삶은 것만 넣어 된장으로 파는 경우도 허다하다고 한다. 이 경우는 매우 간단하다고. 된장찌개최근 수정 시각: 2019-02-28 05:30:28분류 한국 요리 관련 문서: 한국 요리, 찌개한국의 국과 찌개[ 펼치기 · 접기 ]된장찌개1. 개요2. 된장국과 된장찌개3. 레시피3.1. 기본 레시피3.2. 백종원 식3.3. 차돌박이 된장찌개3.4. 조리시 팁3.5. 기타 바리에이션4. 이야깃거리1. 개요[편집]된장을 주재료로 끓인 대한민국 전통 가정 요리. 김치찌개와 함께 한식 찌개의 중심에 해당하는 요리. 충청도 일부에서는 장이라고 줄여서 부르기도 한다. 국 용도로 조금 묽게 끓인 것은 된장국, 혹은 토장국이라고 한다.[1] 사실 된장국과 된장찌개의 차이는 묽냐/ 진하냐 정도의 차이일뿐, 본질적인 차이는 없으므로 이 문서에서 같이 설명한다. 집밥하면 떠오르는 대표적인 음식으로, 어머니의 손.. 2019. 3. 7. 동태찌개에 대ㅐ서 알아보자. 정확히는 명태를 쓴 생태찌개였지만, 본인은 동태탕이란 명칭으로 알 동태찌개최근 수정 시각: 2019-03-05 13:16:14 분류 한국 요리 관련 문서: 한국 요리, 찌개한국의 국과 찌개[ 펼치기 · 접기 ]동태찌개1. 개요2. 기타1. 개요[편집]동태를 주로 하여, 무 등을 넣고 끓이는 매운 찌개. 암컷, 특히 산란할 준비를 갖추어 영양 상태가 좋은 암컷을 넣고 끓이면 기름지고 농후한 맛을 자랑하며 수컷을 넣으면 깔끔한 맛을 낸다. 거기에 무는 시원한 맛을 배가해준다. 취향에 따라 두부, 콩나물 등을 곁들여주는 것도 좋다. 얼리지 않은 명태를 넣은 종류는 생태찌개라고 구분해서 부른다. 동태의 뼈와 살만 들어가느냐 아니면 내장 일체가 모두 들어가느냐에 따라서 맛이 상당히 달라진다. 일단 알을 넣는 것은 대부분 선호하는 경향이 있지만 내장은 비린 맛이 날 수 있어 그렇.. 2019. 3. 7. 매운탕 .,생선 자체의 맛을 즐기는 사람들은 매운탕의 맵고 자극적인 맛이 생선의 맛을 가린다며 맑은탕을 더 선호하기도 한다. 취향은 자유이니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먹자. 매운탕최근 수정 시각: 2019-02-27 00:53:20분류 한국 요리 관련 문서: 한국 요리, 찌개한국의 국과 찌개[ 펼치기 · 접기 ]매운탕1. 개요2. 재료로 사용되는 어류3. 술안주4. 회와의 관련성5. 기타1. 개요[편집]대한민국의 찌개 요리로, 각종 생선을 주 재료로 고추장, 고춧가루, 무, 팽이버섯, 여러가지 채소와 두부를 함께 끓여낸 음식이다. 이름은 탕인데 분류는 찌개. 추가 재료로 수제비를 넣기도 하며, 국물만 남았을 경우에 라면사리를 넣어 달라고 하기도 한다. 맵고 자극적인 맛이 특징으로, 그래서 이름도 대놓고 매운탕. 여러 채소와 맵고 자극적인 양념이 들어가는 이유는 당연히 생선의 비린내를 잡기 위해서다. 여기서 고추 등 향신료를 빼고 끓인 지리란 레시피도 있는데[1] 지리의 경우.. 2019. 3. 7. 맛있는 김치찌개를 알아보자. 돼지고기 김치찌개만 3일을 먹어도 질리지 않는다고 김치찌개최근 수정 시각: 2019-01-24 13:42:04분류 한국 요리 관련 문서: 한국 요리, 찌개한국의 국과 찌개[ 펼치기 · 접기 ]김치찌개1. 개요2. 재료 및 바리에이션3. 자취생을 위한 조리법3.1. 간단한 버전3.2. MSG 없는 야매요리 버전4. 맛5. 영양6. 기타1. 개요[편집] 한국 요리 중의 하나. 김치를 기반으로 하는 찌개 요리다. 김치를 볶은 다음[1] 물을 부어 끓이는 방법으로 조리한다. 된장찌개와 함께 한국의 대표적인 찌개요리로 자리하고 있다. 김치찌개의 역사는 사실상 김치의 역사와 궤를 나란히 한다. 너무 시어지고 염분도가 높아 생식이 힘들거나, 양을 불리기 위해 김치를 물에 넣어 끓여먹던 방식이 고기, 대파, 두부, 마늘 등이 추가되어 현재의 김치찌개가 되었다는 설이 .. 2019. 3. 7. 이전 1 ··· 22 23 24 25 26 27 28 ··· 39 다음